FENNEL/리그 오브 레전드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FENNEL

}}} ||



파일:FENNELlogo_profile.png파일:FENNELlogo_white.png
펜넬
FENNEL
창단
2013년 4월 26일
소속 리그
LJL
팀명
PeachServer Allstars(2013.4~2013.12)
Rascal Jester(2013.12~2022.9)
FENNEL(2022.9~)
소유주
홋타 맥심 알렉산더

Hotoke

CEO
엔도 마사야
감독
[[김선묵|김선묵

VicaL
]]
코치
류재건

Ping9
|타카무레 타쿠미

Popo

약칭
FL
파일:FENNEL_symbol.png[[파일:FENNEL_symbol_white.pn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우승 기록
LJL
(1회)
2014 윈터
JCG Premier
(3회)
2013 그랜드 파이널, 2014 시즌 1, 2014 시즌 2
로스터

[ 펼치기 · 접기 ]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상욱(프로게이머)|이상욱

TaNa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일본 국기.svg [[타카이 다이|타카이 다이

hachamecha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일본 국기.svg [[야마자키 노리후미|야마자키 노리후미

Recap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진솔|서진솔

SSol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파일:일본 국기.svg 이안 피어스

Corporal

파일:일본 국기.svg [[오토모 미유|오토모 미유

Shakespeare
]]

팀 컬러

[ 펼치기 · 접기 ]



1. 개요
2. 주요 기록
3. 팀 역사
4. 멤버
4.1. TaNa(타나, 이상욱)
4.2. Hachamecha(하챠메챠, 타카이 다이)
4.4. SSol(쏠, 서진솔)
4.5. Corporal(코포럴, Ian Pearse, 이안 피어스)
4.6. Shakespeare(셰익스피어, 오토모 미유)
5. FNL Academy
6. 전 멤버
6.1. Kinatu(키나츠, 에노모토 유토)
7. 여담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FENNEL

파일:FLOiUVGVEAESb4W.jpg


일본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종합 e스포츠 팀 FENNEL 산하이며 LJL 내에서도 역사가 꽤 오래된 팀으로, LJL의 초대 우승팀이다.

약칭은 FL.[1]


2. 주요 기록[편집]


수상 기록
LJL 2014 Winter 우승
출범

Rascal Jester

DetonatioN FocusMe


3. 팀 역사[편집]


파일:PeachServer_Allstarslogo__square.webp
파일:Rascal Jester.png
파일:FENNEL_symbol.png파일:FENNEL_symbol_white.png
PeachServer Allstars
Rascal Jester
FENNEL
피치서버 올스타즈
라스칼 제스터
펜넬
2013
2014 ~ 2022
2023 ~

영광스러운 LJL 역사상 첫 정규리그인 14 Winter 우승팀이다. 하지만 출범 시즌, 길게 봐도 2014년 이후로는 DFM의 독주와 Rampage의 부상에 밀려서 17 스프링의 4위를 제외하면 단 한번도 상위권을 차지하지 못하면서 두 차례나 강등당했고, 프랜차이즈 심사에 통과해서 간신히 리그에 복귀했다. 그러다 보니 LJL에 단 넷, 그마저도 2020년 V3가 우승하기 전에는 DFM, RPG-PGM을 제외한 유일한 우승팀이라는 기록과 그와 대비되는 고난의 역사를 지닌 팀이기도 하다.

3.1. LJL 2021 Spring Split[편집]


2021 시즌에 라틴 아메리카 리그에서 올 나이츠 감독을 맡고있던 '바이칼' 김선묵 감독 선임과 더불어 (구) 콩두 몬스터,(전) 아프리카 프릭스 출신의 원딜러 '쏠' 서진솔과 (구) 스베누, (구) 콩두 몬스터, (구) 설해원 프린스 출신 서포터 '시크릿' 박기선을 영입했다.

2021 스프링 시즌에 용병 봇 듀오의 맹활약과 LJL판에서 보기 드문 젊은피 키나츠의 각성으로 만년 하위권을 벗어나 정규 시즌 2위를 찍는 기염을 토했다. 그러나 플옵에서는 1% 모자란 경험 때문인지 DFM과 V3에게 연달아 침몰하며 최종 성적 3위로 시즌을 마감했다.


3.2. LJL 2021 Summer Split[편집]


서머 시즌은 초반부터 각성한듯, 개막전에서 DFM을 꺾고 승승장구하면서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 시즌 각성한 키나츠뿐만 아니라 미드인 리캡이 포텐을 만개하면서 일본인 한정으론 최고의 미드라 손색이 없을 정도의 폼을 보여주고 있다.

DFM과 치열한 순위 싸움을 벌이던 중 리턴 매치에서 패하면서 1위 수성에 빨간 불이 켜졌고, 결국 정규 시즌 공동 1위로 마감한 후에 타이브레이커 매치로 정규 시즌 1위 자리를 가리게 되었다.

그러나 8월 4일 펼쳐진 타이브레이커 매치에서마저 또 DFM에게 패하면서 정규시즌 2위를 확정지었다.

그런데 승자조 결승에서는 그 일본 역체팀이라던 DFM을 상대로 바텀과 정글에서 앞서면서 3:2로 접전 끝에 이겼다. 이는 2014년 윈터 초대 우승 이후[2] 약 7년만에 결승 진출이다.

그러나 9월 5일 펼쳐진 결승전에서는 다시 올라온 DFM을 상대로 완패하는 모습을 보이며 아쉽게 준우승으로 1년을 마감해야했다.


3.3. LJL 2022 Spring Split[편집]


22시즌을 앞두고 주전 5인 중 키나츠를 제외한 4인 및 호평을 받은 감독인 바이칼 감독까지 재계약을 맺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DFM 에비에 이어 일본 탑 라이너의 미래로 평가받는 키나츠를 놓친 것은 큰 손실로 평가받고 있다. 키나츠의 공백을 AXIZ 탑 라이너인 아이노로 메웠으나 과연 얼마나 활약해줄지는 미지수. 추가로 DFM외 다른 팀들의 보강이 전년도보다 더 만만치 않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 이러한 살얼음 경쟁속에 2년차를 맞은 준우승 멤버가 얼마나 활약을 해줄지 기대받고 있다.

여기에 한국인 구성원들이 2021년 12월에 일찌감치 미리 일본에 입국해서 준비를 하고 있다고 한다.

개막전에서는 1황으로 평가받는 DFM에게 패했으나, 이후 3연승을 거두면서 성공적으로 상위권에 안착할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이후 거물급 한국인 용병을 데려오면서 전력을 크게 강화한 것으로 평가받던 SG, BC, CGA에게 연패하면서 충격적인 3연패로 하위권으로 미끄러졌다. 굉장히 치명적인 것이, 전 시즌 준우승권팀이 전력을 거의 보전받았다고 평가받고 있었음에도 우승 경쟁권 팀과의 싸움에서 완전히 밀려버린 것.

2R 첫 경기인 2위 SG와의 리벤지 매치에서 승리를 잡아내며 다시 한 번 반등할 기회를 얻었다. 이후 SHG, CGA와의 경기까지 쭉 3연승을 내달리며 2라운드 초반 최고의 폼을 보여주면서 공동 3위까지 치고 올라왔다. 그리고 전승 팀 DFM을 꺾으며 더욱 기세를 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3R에서 하필 순위 경쟁팀인 SG에게 치명적인 일격을 받으며 11연승 기록 달성에 실패, 이후 DFM이 17승 고지를 찍어버리며 정규 시즌 1위는 불가능하게 되었다. 다만 1라운드 부진이 무색하게 로컬 선수들부터 한국 용병까지 각성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고, DFM 상대로도 상대 전적 우위를 달성한 유일한 팀이기에 플옵에서 DFM 상대로 이변을 달성할 수 있을지 확실히 기대를 받고 있다.

3월 25일, SG가 RJ전 승리 이후 무패를 달리는 바람에 결국 승점이 동률임에도 상대전적에서 뒤져 2위자리조차 뺏기고 3위로 정규 시즌을 마무리했다. 플레이오프에서 다른 1라운드 진출팀들보다 우위에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2R 직행에 실패해 1코인을 내줬다는 점에서 아쉬운 결과.

스프링 플레이오프 1라운드 대전 상대로 부진한 SHG보다 하이브리드가 버티고 있는 CGA를 선택했다. 예상외의 선택이라는 평가가 있었지만, 3월 30일 플옵 1라운드 경기에서 CGA를 무참하게 박살내버리며 왜 자신들이 현재 일본의 상위권 팀인지를 보여주었다. 특히 쏠과 시크릿이 하이브리드를 압도하였고, 상체 3인방 또한 엄청난 폼을 보여주었기에 다음 라운드 및 전망에 기대감을 안겨주었다.

플레이오프 2라운드에서는 기세가 오른 BC를 상대로 1세트를 내주며 불안하게 출발했으나, 상체 3인방이 BC의 한국인 상체 상대로 버티는 동안 바텀이 각성한 캐리를 보여주면서 3:1로 신승을 거두고 준결승전에 진출했다.

4월 8일, 운명의 준결승전에서 SG를 상대로 5꽉 혈전을 벌였다. 1~2세트 동안 난전과 한타에서 이득을 보면 무리없이 운영을 하면서 세트승을 선취했으나, 3~4세트에서는 한타 때마다 실수를 연발하면서 상대방 제트와 허니의 캐리로 경기를 내주고 말았다. 결국 운명의 5세트에서 시크릿이 탑바드를 가고, 미드인 리캡은 직스, 아이노가 레오나를 들고 서폿을 가는 투 서폿이라는 극한의 날빌을 비장의 카드로 들고 나왔으나, 전혀 연습이 되지 않은 모습을 보여주면서 철저히 응징당하고 완패, 스프링 시즌을 아쉽게 마무리했다.


3.4. LJL 2022 Summer Split[편집]


서머 시즌 개막전에서 SHG를 상대로 가볍게 승리를 거두면서 이번 시즌도 호성적을 낼 것으로 기대를 모았으나, 정규 시즌 반환점까지 4승 6패라는 저조한 성적을 기록하면서 현재의 주전 로스터 성립 이후 항상 보여왔던 강팀으로서의 면모가 아닌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정 선수의 문제라기보다는 로컬의 상체, 용병의 하체 모두 가리지 않고 부진의 늪에 빠져있는데, 일각에서는 RJ가 재정 문제로 매각된다는 루머로 인해 선수단이 흔들리고 있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2R 직후부터 드디어 바텀 듀오의 폼이 돌아오면서 CGA, BC, V3 등 하위권을 확실히 제압하고 3연승을 거두고 다시 순위 경쟁에 시동을 걸었다. 그러나 8월 3일, 하위권팀인 AXZ에게 일격을 맞고, 5일에는 CGA와의 3R 리턴매치에서 지면서 2연패를 기록하는 등 오락가락하는 모습을 또 보여주고 있다.

결국 시즌 종료까지 연패를 쌓으면서 8승 13패라는 저조한 성적을 기록했다. 그나마 같은 중위권 경쟁팀들 또한 덩달아 하위권팀들에 덜미를 잡히면서 상대전적 우위로 간신히 4위를 차지했다.

8월 26일, 서머 플레이오프 1라운드 CGA를 상대로 혈전 끝에 간신히 3:2로 누르고 SHG와 2라운드 경쟁을 하게 되었다.

그러나 결국 8월 31일, 플레이오프 2라운드에서 SHG에게 1:3으로 패하며 스프링 시즌보다 떨어진 4위라는 성적으로 최종 마감했다. 여러모로 일본 순혈 상체 3인방의 파워와 뛰어난 하체 조합으로 많은 기대를 모았으나 정작 바텀메타에서도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스프링에 미치지 못하는 아쉬운 성적으로 시즌을 마감했다. 특히 나이나 팀적 상황으로 보았을 때 스쿼드 자체가 마지막 시즌이라는 점 때문인지 더더욱 아쉽다는 평이 많다.


3.5. LJL 2023 Spring Split[편집]


시즌이 끝난 뒤인 2022년 9월 5일, FENNEL이 Rascal Jester 롤 게임단을 인수했다.

시즌 종료 후 광동 프릭스 출신의 레오와 군 복무를 마친 비비드를 영입할 것이라는 썰이 떴다. 그리고 아이노가 에비의 대체자로 DFM으로 이적한다는 루머가 나왔다.

12월 12일 주전 서포터였던 시크릿이 은퇴를 선언했다.

1월 10일, 타나-하챠메챠-리캡-레오-코포럴의 로스터를 발표했다. 한편 아이노는 AXIZ로 이적하고, DFM은 에비의 대체자로 아카데미의 tol2를 콜업하여 이적 루머 중에 레오 영입만 적중했다.

정규 시즌 7승 7패 4위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며, 플레이오프에서는 버닝 코어를 상대로 리버스 스윕승을 거뒀으나 다음 라운드에서 만난 1위 센고쿠에게 2:3으로 아쉽게 패배하며 시즌을 마무리했다.

시즌이 끝난 후 레오가 팀을 떠나고 쏠을 재영입했다.

3.6. LJL 2023 Summer Split [편집]


6월 11일 개막전으로 CGA를 상대하게 되었는데 쏠의 파트너로 기존 주전 코포럴이 아닌 셰익스피어를 첫 출전시키면서 일본 역사상 최초의 여성 1군 롤 프로게이머 보유라는 역사적인 기록을 썼다.

그리고 그 개막전에서 깔끔한 바텀 캐리로 2:0 완승을 거두며 산뜻한 시즌 출발을 알렸다. 일본 첫 여성 프로게이머의 역사적인 데뷔전 첫 승리라는 기록은 덤.

4. 멤버[편집]



4.1. TaNa(타나, 이상욱)[편집]


파일:DP_TaNa_2022_Split_2.png

항목 참조.


4.2. Hachamecha(하챠메챠, 타카이 다이)[편집]


파일:RJ_hachamecha_2021_Split_1.png

항목 참조.


4.3. Recap(리캡, 야마자키 노리후미)[편집]


파일:RJ_Recap_2021_Split_1.png

항목 참조.


4.4. SSol(쏠, 서진솔)[편집]


파일:RJ_Ssol_2022_Split_1.png

항목 참조.


4.5. Corporal(코포럴, Ian Pearse, 이안 피어스)[편집]


파일:DW_Corporal_2019_Split_1.png

2001년생 호주-일본 이중국적으로 유명한[3] Dire Wolves, Fukuoka SoftBank Hawks gaming 출신 서포터. 일본 로컬 등록을 해서 터슬의 로컬 자격 취득과 더불어 소프트뱅크가 전설의 순수로컬 1명 로스터를 완성시킬 수 있었던 원동력. 하지만 터슬의 노쇠화와 코포럴의 소통 문제 때문인지 그냥 이유고 뭐고 필요 없고 팀이 소프트뱅크라서 해당 로스터는 망했다.

일본 슈퍼팀의 멸망 이후 오더에 들어와서 LCO 복귀를 했는데, 북미로컬 유럽인 산토린의 18 H2k 흑역사와 달리 이쪽은 무려 정규시즌 4위에서 우승까지 도장깨기를 성공해버렸다. H2k도 흥하긴 했다. 산토린 쫓겨나고 나서...

다만 MSI에서는 유체폿 타르가마스야 당연하고 시종일관 욕먹는 벌컨을 상대로도 탈탈탈탈 털리면서 케비, 퓨마와 함께 팀을 침몰시켰다. 다른 마이너 지역 우승팀을 상대로는 어느 정도 먹혔을지 궁금하지만, 일단 팀 내에서도 개인기량으로 지분이 그리 큰 선수라 보긴 어렵다.[4]

2022년 9월 12일 팀을 떠나게 되었다. 이후 일본의 라스칼 제스터를 인수한 펜넬로 이적했다.


4.6. Shakespeare(셰익스피어, 오토모 미유)[편집]


파일:FL_Shakespeare_2023_Split_2.png

항목 참조.


5. FNL Academy[편집]


}}} ||



파일:FENNELlogo_profile.png파일:FENNELlogo_white.png
펜넬 아카데미
FENNEL Academy
창단
2021년 8월 28일
소속 리그
LJLA
팀명
Rascal Jester Academy(2021.8~2022.9)
FENNEL Academy(2022.9~)
코치
사토 요시마사

Gariaru

약칭
FNLA
파일:FENNEL_symbol.png[[파일:FENNEL_symbol_white.pn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로스터

[ 펼치기 · 접기 ]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일본 국기.svg 토비타 소라

Momo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일본 국기.svg 코모다 레오

Yunika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일본 국기.svg 노모토 카몬

Kakkun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중국 국기.svg 로 인카이

Deant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파일:일본 국기.svg [[오토모 미유|오토모 미유[1]

Shakespeare
]]

팀 컬러

[ 펼치기 · 접기 ]



2021년 8월 28일, 새로 출범한 LJL Academy League를 위해 FENNEL 산하에 창설된 팀이다.

창설과 함께 서포터로 'ShakeSpeare' 오토모 미유를 로스터에 등록하였는데, 이는 LJL 첫 여성 선수의 공식 로스터 등록이다.


6. 전 멤버[편집]



6.1. Kinatu(키나츠, 에노모토 유토)[편집]


파일:RJ_Kinatu_2021_Split_1.png

2003년 생 탑 라이너.

데뷔 전 오버워치 프로게이머를 하고 있었으며 롤은 2019년부터 시작한 후 2020년 스카우팅 그라운드를 통해 프로씬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한마디로 게임 시작 1년 만에 롤 프로계에 발을 담근 어마어마한 재능러.

그 해 라스칼 제스터의 연습생으로 영입된 후 2021 스프링 시즌에 곧바로 데뷔했다. 데뷔하자마자 에비를 솔킬내는 등 어마어마한 폼을 보여주며 간만에 오랜만에 등장한 초신성급 토종 선수로 평가받고 있다.

플레이스타일은 신인이 맞나 싶을 정도로 강한 라인전 수행 능력과 한타 시 매우 침착한 포커싱 능력이 돋보인다. 특히 신인들에게서 자주 보이는 터널 시야도 없다.


7. 여담[편집]


  • 한국에 잘 알려진 대표적인 출신 선수로는 Rascal[5]과 현 오버워치 프로게이머 Gesture[6]가 있다.



8. 둘러보기[편집]


}}} ||

[ 펼치기 · 접기 ]
순서
우승팀
우승 횟수
2014 윈터
파일:external/lol.esportswikis.com/130px-Rascal_Jesterlogo_square.png
Rascal Jester

1회
2014 스프링
파일:DetonatioN Gaming.png
DetonatioN FocusMe

4회
2014 서머
2014 그랜드 파이널
2015 시즌 1
2015 시즌 2
파일:Ozone_Rampagelogo_square.png
Ozone Rampage

1회
2015 그랜드 파이널
파일:DetonatioN Gaming.png
DetonatioN FocusMe

6회
2016 스프링
2016 서머
파일:Rampagelogo_square.png
Rampage

4회
2017 스프링
2017 서머
2018 스프링
파일:300px-PENTAGRAMlogo_square.png
PENTAGRAM

5회
2018 서머
파일:DetonatioN Gaming.png
DetonatioN FocusMe

10회
2019 스프링
2019 서머
2020 스프링
2020 서머
파일:300px-V3_esportslogo_square.png
V3 Esports

1회
2021 스프링
파일:DetonatioN Gaming.png
DetonatioN FocusMe

12회
2021 서머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5 07:47:45에 나무위키 FENNEL/리그 오브 레전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라스칼 제스터 시절에는 RJ.[2] 이 때는 단순히 리그전만 치뤘기에 결승전도 없었다.[3] 알다시피 일본은 이중국적을 허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호주 국적을 포기하지 않아도 처벌받지 않아서 일본 내에서는 단독국적으로, 호주에서는 복수국적으로 있을 가능성도 있다.[4] 사실 LJL 로컬로 실패하기 쉽지 않다. 그 팀이 소프트뱅크라 어디까지나 면죄부가 주어질 뿐.[5] 당시 Taki라는 닉네임을 사용하였는데 LCK로 넘어가면서 팀의 승인을 받아 팀명에서 따온 Rascal로 닉네임을 바꿨다.[6] 당시 Mirage